![]()
제목: 복음 전파의 불길
본문: 행 14:1-3 우리는 사도바울의 1차 전도여행을 따라가며 어떻게 복음 전파가 진행되었었는지 살펴보고 있습니다. 지난주 말씀에서 바울 일행은 비시디아 안디옥 회당에서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 결과 유대인들은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고, 이방인들이 복음을 영접하였습니다. 이에, 바울은 앞으로 복음 전파의 큰 물결이 이방인에게 갈 것임을 암시하는 말을 하였습니다. 그 후 이들이 향한 곳이 이고니온, 루스드라, 더베입니다. 이고니온은 여전히 유대인과 헬라인들이 모여 사는 곳으로서 유대인 회당이 있었지만, 루스드라와 더베는 유대인들이 전혀 없는 이방 지역이었습니다. 먼저, 이고니온에서의 사역은 앞전의 안디옥과 비슷했습니다. 바울 일행은 이곳에서도 유대인 회당에 들어가 복음을 전파하였습니다. 아마 그곳에서도 유대인의 관습에 따라 말할 기회를 얻어 복음을 전했을 것입니다. 그러자 성경은 유대와 헬라의 허다한 무리가 믿었다고 기록합니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은 믿는 자가 생기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령의 역사가 강한 곳에는 악한 영의 역사도 강하게 일어납니다. 곧, 순종하지 아니하는 유대인들이 나타나 이방인들 (헬라인)의 마음을 선동하여 “악감을 품게(poisoned their minds)” 하였다고 기록합니다. 사탄이 하는 일은 우리 마음을 중독시키는 것입니다. 이렇듯 복음전파에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바울과 바나바는 그 지역에 오래 머물며 전도 사역을 하였습니다. 그 비결이 3절에 나옵니다. 그들은 주님이 주시는 힘, 즉 성령 충만의 힘으로 사역을 하였습니다. 그들이 전한 메시지는 그들의 메시지가 아니라, 주님이 그들에게 주신 주님의 은혜의 메시지였습니다. 더구나 그들을 통해 많은 표적과 기사가 일어남으로 복음 전파 사역에 힘을 더하여 주었습니다. 그 결과는 안디옥과 똑같이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가 생겨났습니다. 그 중 믿지 않는 자들이 두 사도를 모욕하며 돌로 치려 하는 상황이 되자 바울과 바나바는 피신하여 루스드라로 가서 복음을 전합니다. 낙심할만한 상황에서 낙심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루스드라에서는 한가지 해프닝이 일어납니다. 그 곳에서 바울은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 복음을 전하였는데 마침 거기에 태어나면서 걷지 못하는 자가 있었습니다. 그가 바울의 설교를 집중하여 듣고 있었는데, 바울이 그를 주목하여 볼 때, 그에게 ‘구원받을 만한 믿음’이 있는 것을 본 후, 그에게 큰 소리로 “네 발로 바로 일어서라”고 하자 그 사람이 일어나 걷는 놀라운 일이 벌어진 것입니다. 왜 앉은뱅이가 일어나는 기적이 일어났을까요? 사도행전에 보면 앉은뱅이가 일어나는 기적이 4장, 8장, 14장에 반복됩니다. 사실 이 기적은 ‘메시아가 오시면 일어날 기적’이라고 이미 성경에서 예언된 기적입니다. (마11:4-5) 이런 메시아의 기적이 마치 사도행전 1:8 말씀처럼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며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적은 기적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수 복음의 불길이 주님의 말씀대로 전파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그러자 루스드라 마을 사람들은 제우스 신당 제사장과 함께 와서 이들을 신으로 모시며 제사를 지내려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집니다. 이에 바울과 바나바는 옷을 찟으며 그들을 겨우 말립니다. 놀랍게도 바울은 이 소동조차도 복음전파의 기회로 삼아 그들에게 복음을 전합니다. 그가 이들에게 전한 복음은 회당에서 전한 복음과는 확연하게 다릅니다. 바울은 성경도, 이스라엘 역사도 모르는 청중을 고려하여 구약의 말씀을 인용하지 않고, 천지를 창조하시고 살아계신 하나님을 전하면서 하나님께로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전합니다(15). 하나님을 전혀 모르고, 구약성경을 모르는 자들에게 이들도 하나님을 느낄 수 있는 자연현상 (비, 농사의 결실, 풍성함과 기쁨 등)을 소재로 하나님을 소개하며 복음을 전한 것입니다. 그의 복음은 철저하게 청중 맞춤형이었던 것입니다. 이때, 안디옥과 이고니온에서 유대인들이 지겹도록 따라와서 결국 바울을 돌로 치고, 죽은 줄 알고 그를 시외에 내버립니다. 너무나 가슴 아픈 장면입니다. 바울이 죽은 줄로 알았던 제자들이 혼이 나간 듯 둘러서서 그를 보고 있는데, 바울은 벌떡 일어나서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툭툭 털고 다시금 루스드라 성으로 들어갑니다. 그가 복음 전파를 위해 사생결단의 각오를 했음을 확인하는 장면인 것입니다. 이러한 바울의 강인함은 물론 타고난 그의 성격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본성 만으로는 다 설명이 안됩니다. 그는 그가 다메섹에서 만난 예수님으로 완전히 충만하였기 때문에 이런 모습을 보일 수 있었던 것입니다. 저와 여러분은 이런 바울의 모습 앞에서 어떠한 지 돌아보면 좋겠습니다. 이제 바울은 더베를 거쳐, 지금껏 왔던 길을 되돌아가며 새로 믿게된 제자들에게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려면 많은 환난을 겪어야 할 것이다” 라고 말합니다. 바울의 이 말을 들은 이들은 얼마나 큰 힘과 위로를 받았을 지 상상해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모습이 예수님의 모습입니다. 주님은 친히 먼저 십자가를 지시고, 우리에게 자기 십자가를 지고 자신을 따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후 바울은 교회의 리더십을 세우고 금식기도 할 것을 권한 후 그 곳을 떠나 안디옥으로 돌아갑니다. 이로서 1차 전도여행이 마무리됩니다. 교회의 머리되신 예수님으로 충만한 사역자는 바울과 같이 훌륭한 사역자가 되고, 그런 훌륭한 사역자는 금식하는 훌륭한 리더들을 세우며, 그러한 훌륭한 리더들은 새로 믿은 자들을 훌륭히 세워갑니다. 이것이 바울 사역을 통해 그려지는 아름다운 교회의 모습입니다. 제가 너무나도 사랑하는 우리 Psalm 공동체가 이러한 공동체 되시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나눔질문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January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