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 사람, 네 사람
< 마가복음 1장 16-20절 > 샬롬! 오늘 말씀은 예수님께서 공생애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시며 첫 제자들을 부르 시는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갈릴리 어부였던 이들이 예수님의 제자가 되는 사건 속에 서 오늘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메시지를 나누기를 원합니다. 1. 네, 예수님의 부르심에 [ 응답 ]하는 자가 되십시오. 예수님께서는 어부였던 자들에게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고 말씀하시며 부르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일상 속에 찾아오셔서 그들에게 ‘사 람을 낚는 사람’이라는 비전을 주신 것이죠. 이는 그들의 일상을 [ 하나님 나라의 수준으로 승화 ]시키는 부르 심이었습니다. 이에 곧바로 예수님을 따라 나선 이들은 비전을 성취하는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2. 사람, 예수님의 부르심은 [ 사람 ]을 향하고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실 때 사람을 낚는 어부라는 비전을 제시하셨습니다. 이와 동일하게 예수님의 첫 사역들은 예수님의 관심의 방향을 잘 보여줍니다. 예수님의 관심과 부르 심은 분명하게 [ 사람 ]을 향하고 있습니다. 즉, 예수님은 우리를 부르셔서 영혼을 구 원하고 살리는 일에 헌신하게 하십니다. 우리 삶의 방향과 관심을 예수님과 일치시키는 것을 통해서 예수님을 닮아가는 걸음을 걷게 되기를 바랍니다. 3. 네 사람, 우릴 부르신 예수님은 [ 동역 ]하게 하십니다. 예수님은 베드로와 안드레, 그리고 야고보와 요한을 차례로 부르십니다. 예수님은 한 사 람, 한 사람을 부르시는 분이면서 동시에 네 사람을 부르시는 분이십니다. 부름받은 자들이 걷 어가는 길은 예수님과 동행하는 길이고, 부름받은 자들과 함께 걷는 길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 동역자 ]가 되게 하셨습니다. # 나눔을 위한 질문 💭 목장 모임을 시작하며, 지난 주간 동안 감사했던 일을 3가지 이상 나눠보세요. 💬 아래 질문과 함께 말씀 안에서 받은 은혜를 나눠보세요. 1. 예수님께서 나를 어떤 사람으로 부르셨다고 생각하나요? 예수님으로부터 받은 부르심 혹 은 개인적인 Vision Statement이 있다면 나눠봅시다. 2. 예수님께서 나의 일상을 어떻게 하나님 나라의 수준에 걸맞게 변화시켜 주실 수 있는지 생 각해보고 나눠봅시다. 3. 예수님의 관심과 나의 관심에는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습니까? 예수님을 닮아가기 위해 한 주간 동안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겠는지 나눠봅시다. 4. 예수님은 우리를 청년부 공동체로 또한 각각의 목장으로 모아 주시고 동역자가 되게 해주 셨습니다. 서로에게 진실한 동역자가 되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는지 나눠 봅시다.
0 Comments
![]()
샬롬! 오늘 말씀은 광야에서의 유랑을 마무리하고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나아가는 이스
라엘 백성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요단 강 앞에 선 이스라엘, 그리고 그 요단을 마른 땅 으로 건너간 이스라엘의 모습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메시지를 나누고자 합니다. 1. 요단 강을 건너가는 것의 의미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는 것은 이스라엘에게 특별한 의미였습니다. 먼저, [ 광야 유랑 생활 ]이 종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출애굽 2세대 이스라엘 자손이 [ 하나님의 언약 백성 ]으로 확인되는 장면입니다. 이처럼 요단을 건너는 사건은 이스라엘 자손들의 물리적, 영적 존재 방식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2. 물 위에 놓인 [ 제사장의 ] 다리 당시 요단 강은 둑에 넘치도록 넘실거리는 상태였습니다. 하나님은 그러한 요단 강을 건 너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라고 하십니다. 그 말씀을 따라 나아갔을 때, 요단의 물줄기는 온전히 끊어졌습니다. 이처럼 하나님은 요단을 건너는 일에 참여를 요구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다 워지는 데에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순종이 뒤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3. 물 위에 놓인 [ 하나님의 ] 다리 “보라 온 땅의 주의 언약궤가 [ 너희 앞에서 ] 요단을 건너가나니” 이스라엘 입장에서 보면 그들의 결단과 행동으로 기적이 일어난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그렇게 말씀하지 않습니 다. 하나님의 기적에만 초점을 맞추게 되면 우리는 [ 문제 ]를 바라보게 되지만, 하나 님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우리는 이를 넘어 [ 새로운 길 ]을 보게 될 것입니다. 물 위 에 놓인 이 다리는 신실하고 완전한 다리입니다. 4. 물 위에 놓인 다리를 건너는 사람들 첫째로, [ 여호수아와 갈렙 ]이 그 다리를 건너갔습니다. 이들은 처음부터 말씀을 신뢰하고 순종하던 사람들이었습니다. 둘째로, [ 제사장들 ]이 그 다리를 건너갔습니다. 이들은 거룩 한 책임과 주어진 명령에 저항 없는 순종으로 나아갔습니다. 마지막으로, [ 이스라엘 백성 ]이 그 다리를 건너갔습니다. 이들은 염려나 두려움, 의심 없이 마른 땅을 밟고 지나 가나안 땅에 도착했습니다. —-- # 나눔을 위한 질문 � 목장 모임을 시작하며, 지난 주간 동안 감사했던 일을 3가지 이상 나눠보세요. � 아래 질문과 함께 말씀 안에서 받은 은혜를 나눠보세요. 1. 불어난 요단 강처럼 느껴지는 거대한 문제를 마주하고 있거나 만난 적이 있습니까? 나는 그 문제 앞에서 주로 어떠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까? 2. 내가 Psalm 공동체 안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은 무엇입니까? 해당 영역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3. 나는 하나님의 기적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까? 아니면 하나님의 마음에 관심을 가지고 있 습니까? 4. 하나님께서 나에게 열어 주시는 길을 따라 나아가기 위해 오늘 내가 해야 할 결단은 무엇 입니까? ![]()
제목: 여호와를 기뻐하라
본문: 시 9:1-3; 시 30:11-12 여러분들은 하나님께서 여러분을 사랑하시는 것을 믿으십니까? 대부분은 그렇다고 대답하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하나님을 사랑하십니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대답이 앞의 질문보다는 쉽지 않은 분들이 계실 겁니다. 지난 4년 반동안 청년들과 함께 해 오면서 꽤 많은 청년들이 어려워하는 질문이었습니다. 마치, 부모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것은 알지만, 내가 부모님을 사랑하는 것은 어느 시기가 되어야 가능하듯 우리는 거룩하시고 완전하신 하나님을 내가 사랑할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 쉽지만은 안습니다.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은 하나님의 성품과 사랑을 깊이 이해하고,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에서 오는 내적 만족과 평강을 누리는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우리가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최고의 경배입니다. 세상이 주는 기쁨과 하나님이 주시는 기쁨은 완전히 차원이 다릅니다. 그것은 영원한 것이요, 본질적인 것이며, 근원적인 기쁨입니다. 결코 닳아 없어지지 않는 기쁨입니다 (요 4:14). 성경은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씀합니다 (요 17:13). 예수님은 십자가를 지시기 직전, 어떤 죽음이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지 잘 아시는 상태에서도 기쁨이 충만하다고 고백하셨는데, 그 이유는 십자가를 통해 이뤄질 아버지의 사랑과 공의, 구원계획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의 하나님은 서로 간의 완전한 연합 속에서 충만한 기쁨을 누리시며, 우리를 이 기쁨의 관계로의 초대하고 계십니다. 피조물인 인간이 창조주, 삶의 모든 근원이신 하나님과 연합하면 마치 고아가 부모를 만난 것 같은 감격과 기쁨이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일방적인 사랑과 은혜를 경험하게 되면 여호와를 기뻐하게 됩니다. 이 기쁨을 깊이 있게 깨닫게 되면 세상이 주는 기쁨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크고 깊은 기쁨이 있습니다. 고난 속에서도 소망이 있고, 심지어 죽음도 두렵지 않습니다.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1문은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이 무엇인가’이며, 이에 대한 답변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하나님을 영원토록 즐거워하는 것 (To glorify God and enjoy Him forever)’ 입니다. 이 두 가지는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서, 여호와를 기뻐하는 것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 됩니다. 그럼, 하나님을 기뻐하는 유익은 무엇입니까? 첫째 유익은, 신앙생활이 의무감을 넘어 기쁨이 되는 것입니다. (존 파이퍼 목사님 사례) 의무감과 기쁨으로 하는 것은 천지 차이입니다. 하나님을 기뻐하는 자는 신앙 생활이 의무감이 아니라 기쁨이 됩니다. 그래야 신앙 생활이 지속 가능한 것입니다. 둘째 유익은, 그것을 통해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십니다. 사실 하나님은 인간을 통해서 덕볼 게 하나도 없습니다. (어떤 청년의 애완견 사례) 하나님은 부족함이 없으시고, 할 수 없는 것이 없으신 분이십니다. 이런 하나님께 우리가 뭘 하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겠습니까? 그래서 하나님은 우리 마음, 우리 믿음만 받으시겠다고 하시는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을 기뻐하는 것 이상 하나님을 더 섬길 수 있는 더 좋은 길이 없는 것입니다. 그 분을 즐거워하는 것 말고는 그 분을 영화롭게 할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셋째 유익은, 하나님께서 자신을 기뻐하는 자들을 축복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기뻐하시면 우리 내면의 깊은 소원들을 이루어 주시겠노라 약속하십니다 (시 37:4). 다윗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윗은 인간적으로 볼 때 참으로 부족한 점이 많았던 사람입니다. 그는 성적 유혹에도 넘어졌으며, 간음죄를 덮으려 살인죄도 범했고, 그의 인간관계에는 미성숙한 모습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그를 “여호와의 마음에 합한 자”라고 부르시고, 메시야의 조상으로 삼으셨습니다. 그 비밀은 다윗이 진심으로 하나님을 기뻐한 자였기 때문입니다. 다윗은 정말로 하나님을 사랑한 자였습니다. 심지어 그는 고난 중에도 하나님만 생각하면 너무 좋았습니다. 오늘 본문인 시편 9편의 배경은 다윗이 원수들에게 압재를 받는 환난 중에 있었던 것입니다. 그는 자신이 사망의 문에 있다고 표현했습니다. 그런 다윗이 “내가 전심으로 여호와를 기뻐하고 즐거워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런 다윗을 너무 사랑하셔서 그의 인간적인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높이 들어 쓰신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하나님을 기뻐할 수 있을까요? 첫째, 하나님과 친해지십시요. 친해지기 위해서는 하나님을 알아야 합니다. 성경이 말하는 안다는 것은 부부 사이에서 아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성경말씀을 통해서, 성화의 과정을 통해서 하나님이 어떠한 분이신 지를 점점 더 구체적으로 알아갈 것입니다. 하나님을 알아가면 갈수록 하나님에 대한 오해를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하나님은 우리 인생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시는 분이십니다. 그 안의 다양한 굴곡과 경험들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과 인격을 깎고 진면목이 드러나게 합니다. 둘째, 하나님과 할 수 있는 한 더 많은 삶의 영역을 나누십시요. 하나님은 인생의 중요한 결정할 때만 관여하시는 분이 아니시고, 매일 매일의 삶을 동행하시려고 우리를 창조하셨습니다. 그 분께 얼마를 여는 지는 우리의 자유의지에 맡기셨습니다. 여러분, 하나님을 경험하시기 원하신다면 내 삶의 모든 영역을 하나님께 여시고, 하나님과 함께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셋째, 하나님을 좋아하는 것을 표현하는 데 인색하지 마십시요. 사랑은 표현하는 겁니다. 표현하다 보면 더욱 표현이 자연스러워집니다. 그러면 더더욱 사랑의 마음이 싹틉니다.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독생자를 아끼지 않으시고 내어 주시고, 우리와 영원토록 함께하실 왕의 왕 하나님, 어찌 이 분께 나의 사랑과 감사를 표현하는데 인색할 수 있겠습니까? 자신있게 하나님을 좋아합시다. 사랑합시다. 그것을 표현하는데 머뭇거리지 맙시다. 이것이 제가 여러분에게 꼭 드리고 싶었던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나눔 질문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March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