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지혜서의 기반, 잠언 1 (잠 1:1-7)
성경에서 욥기, 잠언, 전도서를 지혜서라고 합니다. 잠언의 뜻은 영어로 Proverbs 격언, 속담, 금언, 교훈이란 뜻입니다. Proverb는 pro(앞) + verb(동사, 말) 로서, ‘미리하는 말’을 뜻합니다. 히브리어 의미에는 Proverb 외에도, comparison의 의미가 더 있습니다. 한문에서, 잠언의 잠(箴)은 바늘, 침을 말합니다. 즉, 잠언은 찌르는 말, 무감각해진 우리 마음을 찔러 일깨우는 말이란 뜻입니다. 잠언의 특징을 보면, 우선, 이야기(서사구조)가 없고, 꿰뚫는 맥락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둘째, Proverb가 앞서 하는 말이라는 뜻은, 나쁜 의미로 너무 당연한 이야기, 즉, 잔소리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셋째, 잠언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깨달은 지식, 즉 실천적이고 개인적 지식을 다룹니다. 어쨌든, 잠언은 수많은 인생들을 바로잡아준 귀한 지혜의 글입니다. 잠언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잠언은 사람들간의 관계 속에서 생성되어진 책입니다. 특별히, 이스라엘 사람들에게서 나왔습니다. 그들은 어떤 일을 하든 항상 하나님을 인식하는 백성들이었기 때문에, 잠언에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신학적 성찰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수천년간 하나님과 관계하면서 쌓여진 보석 같은 지혜들이 담겨있는 책입니다. 따라서, 잠언은 단순한 지혜집이 아니라 하나님의 지혜와 관련된 지혜집입니다. 잠언의 저자는 솔로몬 뿐 아니라 지혜있는 자(들), 아굴, 르무엘 등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중 솔로몬이 잠언 전체를 꿰는 중요한 인물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왕상 4: 29-34은 솔로몬이 얼마나 특별한 지혜를 받은 사람인지를 잘 드러내 줍니다. 하나님이 솔로몬에게 특별한 지혜를 주신 것은, 솔로몬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전 인류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본문 말씀인 잠 1:1-7은 잠언 전체의 아웃라인을 잡아주는 중요한 서두 부분입니다. 1절에서 솔로몬이 다윗의 아들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다윗은 이스라엘 공동체를 대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삼하 7:12-16) 따라서 잠언은 작게는 이스라엘 공동체, 크게는 하나님의 백성된 모든 공동체에게 주시는 지혜의 말씀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잠언이 비록 솔로몬때 쓰였지만, 그 기틀은 다윗이 닦았음을 고려할 때, 잠언은 이스라엘 역사를 통해서, 더 크게는 인류 전체의 역사를 통해서 보편적으로 전수된 지혜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스라엘의 왕 솔로몬이란 표현에서는, 이스라엘의 참 왕이신 하나님에 관한 지혜의 글이 잠언이라는 것을 나타내 줍니다. 잠언이 하나님의 지혜에서 나온 말은 맞지만, 인간의 이성을 부정하는 글은 아닙니다. 합리적 판단과 추론, 상상을 가능케하는 이성도 하나님의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잠언을 읽는 우리도 이성도 배제하지 말고, 적극 사용해서 읽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잠언의 목적은 2-3절에 나와 있습니다. 지혜(호크마)는 앎과 관련있는 지식과는 다르게, 실용적인 지혜를 말합니다. 특히, 잠언의 지혜는 하나님이 지으신 근원적 질서와 관련된 지혜를 다룹니다. 훈계는 책망하는 것, 꾸짖는 것을 말하는 데 그 목적은 잘못된 방향을 바로잡기 위함입니다. (훈계를 싫어하는 현시대 이야기) 명철은 사물이나 어떤 현상의 핵심을 간파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오징어게임, 박해수 사례). ‘지혜롭게’로 표현된 원어적 뜻은 분별력 있다는 것입니다. 분별력은 ‘때를 구별하는 것’ 입니다. (일상에서 분별력의 중요성 예화) 전체상황을 파악하는 능력과 내가 처한 상태를 인지하는 자아인식능력이 동시에 요구됩니다. ‘공의(right)롭게’는 누군가의 고통을 보고 함께 마음 아파하는 공감능력과, 평등에 입각한 정의를 바라는 마음을 말합니다. ‘정의(just)롭게’는 저울을 올바로 재듯이 도덕과 규범적으로 바른 판단을 말합니다. ‘정직한 삶’이란 곧은 길을 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소중한 지혜들을 주시기 위해서 잠언을 우리에게 주셨다는 말씀이다. 잠언의 결론이 본문 7절에 나옵니다.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다”는 대목입니다. 경외함은 ‘하나님의 크심을 알고, 나의 작음을 깨달아 겸손해져서, 외경스럽게 하나님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경외심이야 말로 사람을 사람되게 만듭니다. 경외심은 우리가 하나님의 신비를 보게 만듭니다. (밥 한 숟가락 예) 경외심이 있는 사람은 열린 마음으로 모든 지혜를 받아들입니다. 배움에 대한 유연한 마음이 지혜를 쫓는데 대단히 중요합니다. 배움은 낯선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잠언을 공부하는 것은 그런 세계를 조금이나마 맛보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여호와를 경외하는 사람은 여호와의 경륜과 섭리를 받아들이는 사람입니다. 반면,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합니다. 이 차이는 내 안에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이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묵상과 나눔을 위한 질문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4부예배오후 1시 (청년부 예배실) Archives
March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