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스틴 한인 장로교회
  • 홈
  • 교회소개
    • 섬기는분들
    • 새가족부
    • 공동체 목장
    • 사역위원회 >
      • 장년교육위원회
      • 선교위원회 >
        • 선교 서신
    • 교회소식
    • 헌금/Give
    • 코로나-19 공지사항
  • 미디어
    • 큐티자료
    • 설교산책
    • 주일예배
    • 주일찬양
    • 금요찬양기도회
    • 목회서신
    • 특별집회
  • LIFEWAY
  • 청년부
    • 청년부목장
    • 주일예배
    • PSALM MEDIA
    • 공지사항
  • 다음세대
    • 영유아부
    • 유치부
    • 유년부CM
    • Youth
  • 자료실
    • 겨자씨 Webzine
    • 교회내규

Good Morning! 말씀 산책

[03/14/23 아침묵상] 사무엘상 22:11-23

3/13/2023

0 Comments

 
안 그래도 다윗을 죽이고자 하는 계획이 뜻대로 안 풀려 스트레스 풀 곳이 필요했던 사울, 도엑의 밀고를 받고 제사장들을 소집합니다. 그는 사울의 귀에 듣기 좋은 말만 하는 간신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사망의 냄새를 전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그 안에 두려움이 가득 차 있다는 점입니다. 그의 이름의 뜻 (‘소심한, 겁 많은’) 처럼 도엑은 사람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또한 사망의 두려움으로 몰아넣는 길을 걸어갑니다. 편집증 혹은 망상장애에 빠진 사울은 이제 있지도 않은 말들을 멋대로 만들어 내며 제사장 아히멜렉을 반역 공모죄 (다윗을 도와 자신을 죽이려 했다는 죄목) 로 고소합니다 (13절). 판결에는 반드시 두 사람 이상의 증인이 요구된다는 모세 율법을 어긴 것이죠. 그러나 진짜 문제는 사울이 율법을 어긴 것이 아니라 그의 안에 해결되지 않은 죄입니다. 율법을 어긴 것은 아히멜렉도 마찬가지이지만 (제사장에게만 주어야 하는 진설병을 배고픈 다윗에게 건네줌), 그가 율법을 어긴 이유는 생명을 살리고자 함입니다. 사망의 냄새를 풍기는 사울 앞에, 아히멜렉은 다윗을 살리고자 다윗을 변호합니다 (14절). 하지만, 그 안에 죽은 사람의 뼈와 모든 더러운 것이 가득한 ‘회칠한 무덤’ 과도 같았던 사울은 아히멜렉의 증언을 일언지하에 무시합니다. 여호와의 제사장들을 모두 죽이라 명합니다 (16-17절). 사울의 이런 사망의 냄새는 사실 그의 손에 항상 단창이 들려 있을 때부터 풍겨 나왔습니다. 어제 본문 (삼상 22:6)을 보면 사울은 단창을 들고 에셀나무에 앉아있습니다. 창세기 21장에 아브라함이 브엘세바에서 에셀나무를 심을 때는 생명의 냄새를 내었던 에셀나무가, 여기서는 죽음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오늘 내 안에 무엇이 있느냐에 따라 똑같은 말씀과 복음이 이 사람에게는 사망의 냄새가 될 것이요, 저 사람에게는 생명의 냄새가 될 수 있습니다 (고후 2:16 참조). 재미있는 것은, 사울의 이런 사망의 냄새는 자신이 그토록 바랬던 다윗의 죽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죽음의 냄새였다는 것입니다 (삼상 31:13 — 단창을 들고 앉아 있던 에셀나무가 자기 자신의 무덤이 되어버림). 바로 그 자리에, 단창을 품고 있던 사람이 한명 더 있었습니다. 바로 도엑입니다. 정치적 탐욕으로 가득찬 도엑은 오늘 그 단창을 꺼내들어 사울의 명을 받아 세마포 에봇 입은 자 85명과 남녀와 아이들과 젖 먹는 자들과 소와 나귀와 양을 도륙합니다. 놉 이라는 성읍 전체를 진멸해버린 것입니다. 앞서 삼상15장에 이방인 아말렉을 진멸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어겼던 사울은 자신의 왕권을 지키고자 하나님의 제사장들을 진멸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사울이 에돔 사람 (영원한 하나님의 생명의 유업을, 눈 앞에 있는 욕심을 못이겨 죽 한 그릇에 팔아넘긴 에서의 자손) 과 짝하고 단합할 수 있었던 이유입니다.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와중에 사망의 길에서 도망쳐 나온 유일한 생존자 아비아달은 다윗에게 도피하고 다윗은 그의 생명을 살리는 길을 택합니다. 우리를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기신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의 예표입니다. 오늘 죄와 사망의 냄새로 가득한 세상으로 나가시는 성도 여러분, 우리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기게 하시고, 우리로 말미암아 각처에서 그리스도를 아는 냄새를 나타내시는 하나님을 증거하며, 생명의 냄새를 전하는 인생 살아가시기를 축원합니다!
 
 
오늘의 기도
“거룩하신 하나님, 세상을 두려워 하지 않고 오직 주님만 경외함으로, 사망의 냄새를 풍기는 인생길에서 돌이켜 생명의 길로 걷게 하옵소서!”

0 Comments

[03/13/23 아침묵상] 사무엘상 22:1-10

3/12/2023

0 Comments

 
다윗은 고난 가운데 하나님이 원하시는 왕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애를 쓰는 모습을 오늘의 본문에서 보여줍니다.

그는 하나님의 뜻을 구할 때까지 기다리며 인내합니다. 그리고 뜻을 알았을 때, 온전히 순종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랬을 때, 그의 인생은 마치 동굴에 갇혀 희망 없이 살아가는 인생에서 하나님이 준비하여 주신 출구가 있는 터널을 지나가고 있는 인생으로 바꾸어 살게 됩니다.

​희망 없이 고난의 길을 걷고 있어 좌절하고 있는 분이 계십니까? 오늘 말씀을 통해 이 기쁜 소식을 듣고 하늘의 지혜를 얻어 고난을 축복의 기회로 바꾸는 복된 인생을 살게 되길 예수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의 뜻을 구하고 그 뜻에 온전히 순종하는 인생을 살게 하여 주시옵소서. 아멘
0 Comments

[03/10/23 아침묵상] 사무엘상 20:35-42

3/10/2023

0 Comments

 
“아이가 가매 다윗이 곧 바위 남쪽에서 일어나서 땅에 엎드려 세 번 절한 후에 서로 입 맞추고 같이 울되 다윗이 더욱 심하더니” (41)
 
사울은 다윗을 자기 개인에 대한 위협일 뿐 아니라, 자신의 집안, 자신의 왕조에 대한 위협으로 여기고 있었습니다. 사실, 이 당시 사울 자신도 하나님이 자신을 떠나버렸고, 다윗이 이 왕권을 잇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하나님의 뜻에 반대하고, 그 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다윗을 죽이려고 결심한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하나님과 대적하는 자리에 서면 안됩니다. 하나님을 대적하는 삶은 힘들고, 결국 망하게 되어 있습니다. 비록 그 뜻이 내 뜻과 다를 지라도 하나님의 뜻을 깨달았다면 이에 순종하는 자가 지혜로운 자인 것입니다.
 
이제 요나단은 이 사실을 들판에서 기다리는 다윗에게 알려주려 합니다. 그런데, 사울이 워낙 위협적으로 나왔기에, 다윗과 접촉하는 일은 요나단에게도 굉장히 위험한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남들 눈에 덜 띄도록 ‘작은’ 아이를 데리고 그 곳에 갔고, 그 아이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빨리 서둘러 성읍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그는 마치 그 아이에게 이야기하는 것처럼 해서, 다윗에게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빨리 이 곳을 피하라고 외쳐 말합니다.
 
요나단은 왜 다윗을 구하기로 마음먹었을까요?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그가 다윗과 맺었던 약속, 즉, 인간적인 신의 때문이었습니다. 성경은 우리 믿는 자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런데, 요나단과 다윗의 관계는 이런 인간적인 신의의 관계 만은 아니었습니다. 이 둘의 깊은 신뢰의 배경에는 여호와 하나님이 계십니다. 요나단은 자신과 다윗 가운데 여호와께서 함께 하신다고 반복해서 말합니다. 사람 간의 우정은 사실 오래 못갑니다. 서로 좋을 땐 목숨을 내 놓을 듯 좋다 가도, 금새 변하기 쉬운 것이 사람 간의 우정입니다. 그런데, 하나님 안에서 맺어진 신의관계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변치 않으시며 신실하신 하나님을 통해서 상대방을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 믿는 자들은 믿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도 신뢰받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것은 크리스챤의 올바른 Lordship에서 나옵니다. 이 말은, ‘우리의 궁극적인 주인은 내 직장 상사가 아니라, 우리 하나님이시다’는 흔들리지 않는 가치관이 정립된 것을 말합니다. 보통 이런 사람들을 세상은 처음에는 미워하나, 결국에는 신뢰하게 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살다 보면 하나님의 권위와 세상의 권위가 내게 다른 것을 요구할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우리는 어려워도 하나님을 선택해야 합니다. 왜냐면, 성경은 모든 권위가 하나님께로부터 말미암았다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롬 13:1)
 
오늘 요나단도 하나님을 따랐습니다. 이 결정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 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다윗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요나단의 호의 때문에 크게 울고, 최고의 예우를 갖춰 작별인사를 합니다. 먼저 하나님과의 관계를 더욱 깊이 하고, 그 관계가 주변 사람들에게 확장될 때, 우리는 하나님과 사람 모두에게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관계의 원리가 우리 삶에서 꽃을 피우게 되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저희가 하나님과의 건강한 관계를 바탕으로, 주변 사람들과도 건강한 관계를 맺어 갈 수 있기 원합니다. 하나님과 사람에게 신의를 지키며, 신뢰받을 수 있는 성품으로 성장토록 우리를 인도해 주시옵소서. 아멘
0 Comments

[03/09/23 아침묵상] 사무엘상 20:24-34

3/8/2023

0 Comments

 
사울은 이스라엘의 왕으로 40년간을 왕위에 있었습니다.  블레셋과의 전쟁은 그가 즉위한 기간동안 계속되었었는데, 다윗이 블레셋의 장수 골리앗을 대적했던 때가 사울이 왕이 된지 10년 정도 지난 후라고 추정할 때, 그의 남은 통치기간, 약 30년간의 세월을, 블레셋을 견제하는 동시에 왕으로 기름부어진 다윗을 견제하면서, 그를 해하고 죽이려는 일에 많은 에너지를 소모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사울 왕의 속마음을 알기 위해 요나단이 다윗과 대화한 대로 실행에 옮기는 내용으로, 다윗을 살해하고자 하는 사울의 의도가 확실하게 드러나는 이야기 입니다. 
 
27절: “... 이새의 아들이 어찌하여 어제와 오늘 식사에 나오지 아니하느냐 하니"
 
30절: “사울이 요나단에게 화를 내며… 이새의 아들을 택한 것이 네 수치와 네 어미의 벌거벗은 수치 됨을 내가 어찌 알지 못하랴"”
 
31절: “이새의 아들이 땅에 사는 동안은 너와 네 나라가 든든히 서지 못하리라 그런즉 이제 사람을 보내어 그를 내게로 끌어오라 그는 죽어야 할 자이니라 한지라"
 
34절: “심히 노하여 식탁에서 떠나고…”
 
다윗과 요나단의 관계는 특별합니다.  요나단이 사울왕의 아들임을 생각할 때, 보통 이런 관계에서 서로에게 진실한 친구가 되어주기는 쉽지 않습니다.  사울은 하나님의 영광이 떠난 그의 왕좌를 자신의 힘으로 유지하려고 다윗을 제거할 생각을 하며 안간힘을 썼지만, 요나단은 다윗이 하나님의 기름부음을 받은 자인 것을 인정하였던 것입니다.  그들의 원수는 서로가 아니라 블레셋이며,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게 하신 분이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함께 바라보았기에 그들은 믿음안에 진실한 친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 겸손한 마음이 필요합니다. 내가 나의 삶의 주인이 된 우리의 이기심과 자만심을 버릴 때 하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믿음, 그 뜻에 순종할 수 있는 믿음이 생깁니다.  오늘도 하나님의 뜻을 겸손히 따라가는 믿음을 가진 우리 모두가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0 Comments

[03/08/23 아침묵상] 사무엘상 20:12-23

3/7/2023

0 Comments

 
0 Comments
<<Previous
Forward>>

    굿모닝! 말씀 산책

    매일 개인묵상을 위한 말씀입니다.

    아카이브

    March 2023
    February 2023
    January 2023
    December 2022
    November 2022
    October 2022
    September 2022
    August 2022
    July 2022
    June 2022
    May 2022
    April 2022
    March 2022
    February 2022
    January 2022
    December 2021
    November 2021
    October 2021
    September 2021
    August 2021
    July 2021
    June 2021
    May 2021
    April 2021
    March 2021
    February 2021
    January 2021
    December 2020
    November 2020
    October 2020
    September 2020
    August 2020
    July 2020
    June 2020
    May 2020
    April 2020
    March 2020



Copyright (C) 2022 AKPC All right reserved
12311 Natures Bend, Austin, TX78753
Tel 512-454-1727
Email akpc@akpc.org
Austin, TX
  • 홈
  • 교회소개
    • 섬기는분들
    • 새가족부
    • 공동체 목장
    • 사역위원회 >
      • 장년교육위원회
      • 선교위원회 >
        • 선교 서신
    • 교회소식
    • 헌금/Give
    • 코로나-19 공지사항
  • 미디어
    • 큐티자료
    • 설교산책
    • 주일예배
    • 주일찬양
    • 금요찬양기도회
    • 목회서신
    • 특별집회
  • LIFEWAY
  • 청년부
    • 청년부목장
    • 주일예배
    • PSALM MEDIA
    • 공지사항
  • 다음세대
    • 영유아부
    • 유치부
    • 유년부CM
    • Youth
  • 자료실
    • 겨자씨 Webzine
    • 교회내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