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에 예수를 판 유다가 그의 정죄됨을 보고 스스로 뉘우쳐 그 은 삼십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도로 갖다 주며 이르되 내가 무죄한 피를 팔고 죄를 범하였도다 하니 그들이 이르되 그것이 우리에게 무슨 상관이냐 네가 당하라 하거늘 유다가 은을 성소에 던져 넣고 물러가서 스스로 목매어 죽은지라”(3~5절)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이 새벽부터 모여 예수님을 죽이려고 모의하며 실행에 옮겼습니다. 이들은 새벽부터 창조주이신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가장 악하고 어둡고 슬픈 일들을 계획하며 실행하고 있습니다. 같은 새벽이지만 예수님께서는 조용히 기도의 자리로 나아가셨고, 하나님의 뜻에 자신을 맞추어 연합하시기 위해 겸손한 시간을 보내셨습니다. 예수님은 결박당하시어 총독 빌라도에게 넘겨지셨습니다 (2~3절). 가룟 유다는 예수님을 배신하였다가 이제야 아무 죄 없이 수치와 모욕을 당하시며 정죄함을 받는 예수님을 보면서 심한 마음의 동요가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그의 양심의 소리는 후회에 멈춰버린 마음의 가책일 뿐 참 회개에 이르지 못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진정한 회개에 이를 수 있도록 양심의 소리를 우리 안에 만들어 주셨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진정한 회개를 이루려면 유다와 같이 양심의 소리에서만 머물면 안됩니다. 후회와 뉘우침을 넘어 말씀이신 예수님을 붙들고 참 회개의 자리로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 주님은 우리의 그 어떤 죄에 대해서도 뉘우쳐 회개하고 돌아와 주님 발 앞에 엎드리는 사람을 모른다 하지 않으십니다. 예수님은 자신을 3번씩이나 모른다고 부인한 연약한 베드로를 찾아가 다시금 소명을 주신 것을 기억하시기 소망합니다. 오늘의 기도 우리의 연약함을 잘 아시는 주님, 당신은 우리의 연약함과 죄 때문에 십자가를 지셨습니다. 우리의 거절과 외면, 죄로 인한 부끄러움과 수치까지 모두 담당하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마음 깊이 회개의 자리로 나아갑니다. 이제 주님가신 길을 다시는 놓치지 않고 꼭 붙들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애 기간동안 많은 기적을 행하시고
또한 많은 시간들을 제자들과 몰려드는 무리들을 가르치시는 데 할애하셨습니다. 제자들과 무리들을 향하여 많은 말씀을 선포하시다가 이제는 자신의 몸을 헐물어 대속의 재물로 드리며 주의 백성들을 구원하실 하나님의 때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제사장 가야바의 집 뜰안으로 끌려오면서 제자들은 스가랴의 예언대로 목자들을 버리고 다 흩어져 도망해 버렸고 호언장담하던 베드로마저 저 멀찍이 바깥뜰에 숨어 있습니다. 예수님을 호위하듯 가까이서 따르던 베드로였지만 종교지도자들과 권력자들에게 끌려가는 예수님을 보면서 완전히 무너졌습니다. 예수님을 세번 부인하고 나서야 예수님을 다시 기억한 베드로... 철저히 깨어짐을 경험한 베드로는 스스로는 회복할 수 없는 트라우마가 새겨졌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다시 손내밀어 주실 회복의 은혜가 필요합니다. “나는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지 못하겠노라” (70하) “베드로가 맹세하고 또 부인하여 이르되 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노라” (72) “그가 저주하며 이르되 나는 그 사람을 알지 못하노라” (74) 오늘의 기도 “은혜로우신 주심, 우리의 삶에 늘 함께 동행하여 주심을 감사드립니다. 우리의 인생가운데 두려움이 엄습해 올지라도 예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을 기억하며 우리를 향하여 뻗고 계신 주님의 손을 붙잡을 수 있도록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가룟 유다가 큰 무리와 함께 예수님께 나아옵니다. 이들은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파송한 자들이고, 칼과 몽치를 들고 있습니다. 유다는 “내가 입 맞추는 자가 예수”라고 이미 이들과 군호( a signal)을 짰습니다. 유다가 예수님께 인사하며 입 맟춥니다. 예수님은 “친구여, 네가 목적한 것을 행하라” 말씀하시고, 무리가 나아와 예수님을 체포합니다. 함께 있던 사람 중 하나가 칼을 쳐서 대제사장이 종의 귀를 떨어뜨립니다. 예수님은 칼을 칼집에 꽂으라고 하시며, 칼을 가지는 자는 모두 칼로 망한다고 하세요. 예수님은 자신이 아버지께 기도하여 열두 군단 이상의 천사(more than twelve legions of angels)를 보내시게 할 수 있는 권세가 있지만, 이 일의 성취될 것을 말씀하는 성경이 이루어지도록 그 권세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세요. 예수님은 무리가 자신을 강도처럼 대우하는 것과, 자신은 매일 성전에서 공개적으로 가르치셨음을 (사랑과 평화의 사람임을) 상기시키세요. 그러나 이 모든 것은 다 선지자들의 글(구약 성경)을 성취하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세요. 이에 제자들이 다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합니다.
“곧 예수께 나아와 랍비여 안녕하시옵니까 하고 입을 맞추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친구여 네가 무엇을 하려고 왔는지 행하라 하신대 이에 그들이 나아와 예수께 손을 대어 잡는지라” (49-50) “이에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 칼을 도로 칼집에 꽂으라 칼을 가지는 자는 다 칼로 망하느니라” (52) “그러나 이렇게 된 것은 다 선지자들의 글을 이루려 함이니라 하시더라 이에 제자들이 다 예수를 버리고 도망하니라” (56) 오늘의 기도 “사랑의 주님, 사랑하는 제자의 배신 앞에서도 따뜻한 마음을 잃지 않으시고, 자신을 보호하려는 칼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시고, 모든 것이 성경의 말씀대로 진행되게 하시는 주님을 봅니다. 제 마음이 주님의 마음을 배우고 닮을 수 있도록 은혜 베푸소서” These last few passages will take place during Jesus’ last week before he goes to the cross. Today we come to the Garden of Gethsemane. Jesus goes to Gethsemane where he wrestles in prayer as he prepares to go to the cross.
This is a true struggle for Jesus. Up to this point Jesus has been firm and resolute in all his actions. He has shown himself to be the one in charge. He has been unwavering in his determination to follow the Father’s leading all the way to the cross. But something different happens at Gethsemane. At Gethsemane we see Jesus come the closest to reversing course. So far Jesus has been clearly saying in all his words and actions, “Father, lead me to the cross.” But at Gethsemane Jesus almost comes to the point of saying, “Don’t lead me to the cross.” Here at Gethsemane Jesus is crushed and overwhelmed with sorrow as he is pressed to his very limits. Temptation can be overwhelming to any of us, but what Jesus experienced at Gethsemane goes far beyond anything you and I have ever experienced or ever will experience. Jesus’ sorrow and suffering and abandonment are all part of his passion, all part of the suffering he must undergo on our behalf. Jesus doesn’t use his God-card and try to get out of it. If he is to truly suffer and die for sin, he must experience true suffering and true death. He will not coast through it as a superhuman. Rather, he will suffer through it as a true human being. And that is why he prayed the way he that that late evening. Jesus didn’t stop praying until he came to a place of peace in God’s will. When should you stop praying for something? Not until you have overcome. Not until you have come to the place of trusting God and his will in the matter. We give up and we give in far too easily. We need to learn to pray through to victory, but many times it must first come through the many temptations and pain that this life will inevitably bring. Prayer: Lord, we thank you for all that you had to endure for us. We know that it was not easy and why you had to cry out to God the Father for his will to be ultimately done. May we have the same urgency to pray and respond in obedience to do the Father’s will in the same way as Jesus. In Jesus’ name, amen |
굿모닝! 말씀 산책매일 개인묵상을 위한 말씀입니다. 아카이브
September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