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은 시 모음입니다. 하나님을 향한 시인의 마음과 고백과 간구를 담은 시 모음입니다. 시편 1편은 시편의 위대한 세계를 여는 문입니다. 이 시에서, 시인은 복 있는 사람과 악인을 비교합니다. 복 있는 사람은 ‘삶의 경계 설정’을 잘 합니다. 악인들의 생각을 따르지 않고, 죄인들의 길을 걷지 않고, 오만한 자들의 삶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자녀로서, ‘하지 말아야 할 것’의 경계를 잘 세웁니다. 복 있는 사람은 ‘삶의 우선순위 설정’을 잘 합니다. 말씀 묵상을 삶의 우선순위로 세웁니다. 말씀을 즐거워하여 항상 말씀을 묵상합니다. 묵상은 말씀을 소리내어 읊고, 되내이는 행위입니다. 말씀이 내 귀에 들리고, 내 마음과 내 삶의 모든 영역에 들리게 하는 것입니다. 복 있는 사람은 시냇가에 심은 나무 같아서, 철을 따라 열매를 맺고 잎사귀가 항상 푸릅니다. 그의 모든 일이 형통합니다. 악인의 삶은 다릅니다. 바람이 불면, 악인의 삶은 겨와 같이 날아갑니다. 심판의 날, 악인들은 하나님의 크고 두려운 심판을 받습니다. 의인들의 길은 하나님이 인정하시지만, 악인들의 길은 망합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1-2)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3)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6) 오늘의 기도 “사랑의 주님, 부족하고 자격 없는 저를 복 있는 사람으로 구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복 있는 사람으로 살게 하소서. 말씀묵상이 제 삶의 중심이 되게 하시고, 의인의 길을 걷게 하소서”
0 Comments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산에 올라 내게로 와서 거기 있으라 네가 그들을 가르치도록 내가 율법과 계명을 친히 기록한 돌판을 네게 주리라” (12)
“모세가 산에 오르매 구름이 산을 가리며 여호와의 영광이 시내산 위에 머무르고 구름이 엿새 동안 산을 가리더니 일곱째 날에 여호와께서 구름 가운데서 모세를 부르시니라” (15-16) 시내산 언약식을 마친 후에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직접 부르셔서 언약의 내용을 직접 돌판에 새겨 주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 하나님께서 그 뜻과 의도를 인간에게 나타내시는데 얼마나 신경을 쓰고 계시는 지를 엿볼 수 있는 장면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어떠한 분이신지를 밝혀 주신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입니다. 우리가 성경을 대할 때마다 이 점을 기억하면서 감사함과 경외심을 갖고 하나님의 말씀을 읽어 가길 소망합니다. 모세는 아론이 아닌 여호수아를 데리고 산으로 올라갑니다. 모세는 영적인 사람이었기 때문에 여호수아를 이미 자신의후계자로서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발전하는 나라나, 기업이나, 가정이나, 어느 사회도 다음 세대의 좋은 지도자가 없이는 불가능 합니다. 교회가 다음 세대 교육에 더더욱 매진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 교회와 우주적 교회의 미래가 그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교회는 아낌없는 투자와 노력을 해야 합니다. 모세가 하나님께로 나아 갔을 때, 여호와의 영광이 시내산에 가득하였습니다. 구름이 엿새 동안 산을 가리웠고, 여호와께서 모세를 불러 주시자, 그 모습이 맹렬히 타오르는 불길 같았다고 성경은 기록합니다. 그곳에서 모세는 하나님의 다음 계획을 듣게 됩니다. 그것은 이스라엘의 회중 가운데 하나님의 성소를 세우시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여지껏 하나님은 시내산에 계셨기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만나려면 시내산에 올라가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하나님께서 그들 사이로 들어 가시겠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제 하나님은 명실상부한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되었습니다. 전쟁에 능하시고, 능치 못하심이 없는 하나님이 내 편인 것처럼 든든한 것은 세상에 없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백성이 누리는 자신감과 당당함의 근원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마태복음 16:18-19에서 그러한 영적 권한을 교회에게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또 내가 네게 이르노니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내가 천국 열쇠를 네게 주리니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하나님께서는 교회를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 보듯이 뜨거운 사랑의 마음으로, 모든 관심과 초점을 맞추어 집중하여 바라보고 계십니다. 바로 하나님 당신의 사랑하는 백성들이기 때문입니다. 주께서 인치심을 통해서 값 주고 사신 백성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통해서 세상을 구원하시기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천국 열쇠를 받은 자들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더더욱 책임감도 막중하고, 이 열쇠를 하나님의 뜻에 맡도록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오늘의 기도 우리를 거룩한 하나님의 언약 백성 삼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 말씀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우리를 얼마나 귀하게 생각하시는 지 알게 하여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AKPC 교회가 주님 보시기에 아름답고 귀한 교회로 성장시켜 주시옵소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권한들을 하나님 나라를 위해서 마음껏 사용하는 교회로 축복하여 주시옵소서. 하나님은 가나안 땅의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그 땅에 사는 백성들, 그 땅의 종교와 문화, 그 땅의 기후와 풍토등 모든 것을 훤히 보고 계시는 하나님이시기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명심해야 할 일들을 세세하게 알려주시며 거룩한 백성으로 마음에 기억하고 되새기며 살아야 할 일들을 준비를 하게 하십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세 번의 절기를 지키게 하십니다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14)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감사하기를 원하십니다 “네 토지에서 처음 거둔 열매의 가장 좋은 것을 가져다가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전에 드릴지니라..” (19) 하나님은 백성들의 발걸음을 인도하십니다 “내가 사자를 네 앞서 보내어 길에서 너를 보호하여 너를 내가 예비한 곳에 이르게 하리니” (20) 오직 하나님만을 섬기라 하십니다 “너는 그들과 그들의 신들과 언약하지 말라... 네가 그 신들을 섬기면 그것이 너의 올무가 되리라” (32-33) 하나님이 주신 율법은 명령이지만 우리 일상 생활의 세부적인 부분에도 하나님의 사랑과 긍휼의 정신이 깃들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예비하신 모든 것들이 우리의 삶에 축복이 되어지며 하나님께 온전히 영광을 돌리는 백성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는 풍성하신 하나님이시며 우리의 삶에 늘 좋은 것들로 예비하고 주심을 믿습니다. 우리의 마음을 겸손히 하고 늘 하나님의 음성을 경청하여 하나님이 뜻하시는 바를 이루어가는 우리 모두가 되게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In Exodus 21-23 God focuses primarily on the last 6 commandments spelling out specific details on how Israel were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in this passage, God speaks more in details about what obeying the 9th commandment—The commandment not to bear false witness. This set of laws or exhortations, calls on the people of God and especially on those who are in positions of influence to be truthful and to show integrity in our dealing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ncluding our enemies. What we learn in this passage is that our personal commitment to holiness is to show itself in our public fairness and truthfulness in the context of disagreement and disputes. This section ends with a reminder to recalibrate our hearts and lives by resting in God. In the calendar of Israel, God set up means of readjusting things. Just as people were commanded to rest every seventh day, so the land was to be allowed to rest during the seventh year. This sabbatical year allowed the land to replenish for greater growth and vitality into the future. In addition, debts were canceled, and slaves were set free. In the same way, with our busy schedules and our hectic pace of life, we too need to rest and be readjusted. Demands of work, family, and church can require reevaluation. One way we do that is by observing the sabbath principle—making sure to set aside time to rest and prayerfully refocus our priorities. By resting in the Lord, we can start to refocus and center our lives on God and the things of God and remove anything that might obstruct or get in the way of us doing that. Prayer: Father God, that you that you have given us such details in how we can show love for one another. Help us to pursue justice and integrity in our relationship with you and our neighbors. Give us the confidence to not do these things on our own, but to rest in the finished work of Jesus. In Jesus’ name, Amen. 거룩한 생활에 대한 규례입니다. 약혼하지 않은 처녀를 유혹하여 성적 관계를 가졌으면 결혼을 통해 책임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납폐금(the bride-price)을 주고 아내로 삼든지, 결혼이 거절되는 경우는 납폐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영적 음행자(무당, 여호와 외에 다른 신에게 제사하는 자)와 육적 음행자(짐승과 행음하는 자)를 죽이라고 하십니다.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라 하십니다. 이스라엘도 이집트에서 나그네였기 때문입니다.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해서는 안 됩니다.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는 것을 하나님은 아주 미워하십니다. 가난한 이웃에게 돈을 빌려주면 채권자같이 대하지 말고 이자를 받지 말아야 합니다. 이웃의 옷을 전당 잡으면 해가 지기 전에 돌려주어야 합니다. 그에게는 알몸을 가릴 유일한 옷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자비로운 하나님이십니다. 재판장을 모독하고 백성의 지도자를 저주하지 말아야 합니다. 추수한 것과 짜낸 즙을 바치기를 기뻐하고, 처음 난 아들들을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소와 양도 하나님께 드리되 칠 일은 어미와 함께 있게 하고 팔 일째 되는 날 하나님께 드립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거룩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들에서 짐승에게 찢긴 동물의 고기를 먹지 말고 그것을 개에게 던져야 합니다.
“너는 무당을 살려두지 말라 짐승과 행음하는 자는 반드시 죽일지니라 여호와 외에 다른 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자는 멸할지니라” (18-20) “너는 이방 나그네를 압제하지 말며 그들을 학대하지 말라 너희도 애굽 땅에서 나그네였음이라 너는 과부나 고아를 해롭게 하지 말라 네가 만일 그들을 해롭게 하므로 그들이 내게 부르짖으면 내가 반드시 그 부르짖음을 들으리라” (21-23) 오늘의 기도 “사랑의 주님, 삶속에서 거룩함을 나타내게 하소서. 성적 정결과 영적 순결을 지키게 하소서. 나그네, 과부와 고아, 가난한 자를 돌볼 줄 알게 하소서. 리더십을 존경하고, 하나님께 드림을 기쁨으로 여기게 하소서” |
굿모닝! 말씀 산책매일 개인묵상을 위한 말씀입니다. 아카이브
September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