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 언약의 후손 (창 17:1-7, 15-16)
4 보라 내 언약이 너와 함께 있으니 너는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될지라 우리 한국인은 족보와 가족력을 굉장히 중요하게 따지는 민족입니다. 그런데 성경은 우리가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었다고 말씀합니다. 우리가 그의 자손이면 우리는 아브라함이 받은 언약 또한 상속받는 자들입니다. 하나님과 아브라함 사이에 맺은 언약은 현대어로 하면 계약입니다. 즉, 양쪽이 동의해서 서로에게 해야 하는 의무조항을 약속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내 앞에 행하라’ 와 ‘완전하라’를 요구하셨습니다. 내 앞에 행하라는 원어적인 뜻은,‘하나님의 면전 앞에서 스스로 행하라.’ 라는 뜻입니다. 즉, ‘코람 데오’의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둘째로, 완전하라는 ‘흠잡을 데 없는, 완전한, 나뉘지 않은’ 의 뜻입니다. 이것은 완벽한 것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이 단어가 많이 쓰인 흠없는 번제물을 생각해 봅시다. 각 지방에서 예루살렘으로 먼 길을 이동한 번제물에는 흙과 먼지 등등 온갖 것들이 묻을 수 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그 번제물의 온전함을 해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큰 점이나 흠이 남겨져 있든지, 어느 한 부분에 찢기거나 부러지든지 한다면 그것은 온전한 것이 아닙니다. 이렇듯, 우리가 죄된 행동과 생각을 잠시 동안 하더라도 곧 회개함으로 씻음 받으면 우리는 온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죄를 계속해서 마음에 품고, 계속 자라나게 방치하는 것은 내 영혼에 큰 점이나 흠이 남는 것입니다. * 종교개혁가 마틴 루터의 이야기 또 하나는, 나뉜 마음입니다. 우리는 종종 한 마음은 하나님께, 한 마음은 세상에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한계시록3장에서 이런 마음을 갖고 있던 라오디게아 교회에 대해서 하나님은 네가 차든지 뜨겁든지 하라고 책망하십니다. 반대로,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언약의 부분은 첫째,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을 크게 번성하게 하셔서 여러 민족의 아버지가 되게 하시겠다는 것입니다. 당시 아브라함의 상황을 잘 들여보면 이것은 정말 실현 불가능한 말씀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부르시는 이십니다. 두번째는, 하나님께서 이들에게 걸맞는 새 이름을 주십니다.아브람은 아브라함으로, 사래는 사라로 부르셨습니다. 이들의 영적 지경을 가정과 부족에서부터 전 열방으로 활짝 넓혀 주신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바랄 수 없는 상황에서 하나님의 언약을 믿었습니다. 그렇다면, 나도 이 언약을 믿는다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해 주신 놀라운 언약의 말씀은 내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입니다. * 로렌 커닝햄 목사님 이야기 예화 여러분, 여러분은 무엇이 여러분의 마음을 뛰게 만듭니까?하나님이 부어 주시기 원하시는 비전을 마음에 품고, 0 %에 가까운 가능성 가운데 믿음으로 뛰어드는 아브라함과 같은 청년 여러분들 되시길 축복합니다. 나눔을 위한 질문 1. 믿음으로 우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 된다는 것이 잘 받아들여 지십니까? 그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2.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의 핵심적인 내용은 무엇인가요?이 언약이 내게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3. 나의 영적 지경의 경계선은 어디인가요?하나님 안에서 더 큰 비전을 갖기 원하시나요?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March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