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 소망 (시 39:5-12)
최근 제가 병원에서 임종이 가까운 사람들을 영적으로 케어하는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케이스들을 리뷰하는 중 제 마음을 터치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마흔 여덟의 한 농부였는데, 그는 미혼에 가족도 없이 홀로 큰 담배농장을 꾸리며 살아왔습니다. 땅땅한 체격에 터프한 외모를 가졌고 말 수가 적었습니다. 사실 글도 못 읽고 많이 못 배워서 자기 감정도 잘 표현할 줄 모르는 그가 악성 혈관 질환이 생겨서 큰 수술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은 아직 죽을 준비가 되지 않았고, 이렇게 병원에서 말고 자연스럽게 죽고 싶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집에 돌아가도 아무도 반겨줄 사람이 없다고 했습니다. 그저 힘든 농장일만 자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체념 섞인 이야기를 합니다. 그를 상대한 원목은 20대의 젊은 신학교를 마친 분이셨는데, 안타깝게 그는 이 환자분과 어떠한 감정적,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합니다. 그는 그저 이 환자분은 별다른 영적 도움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넘어 갑니다. 그런데, 안타깝게 그 환자분은 머지않아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이 케이스를 보면서 소망이 사람에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피부로 느꼈습니다. 소망이 없는 삶은 죽은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성경은 소망이 우리 인간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지 강조합니다. 그럼, 성경은 우리에게 소망이 회복되기 위해서 어떻게 하라고 말씀합니까? 두 단계로 나누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 첫번째는 우리 소망을 하나님께 두는 것입니다. 이것은 마치 반석 위에 집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 소망을 하나님께 둔다면 큰 좌절과 실망 속에서도 소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 하나님은 우리에게 소망을 주시는 하나님 이십니다. 하나님께 근거한 소망은 모든 것을 이깁니다. (다니엘, 초대교인, Spafford 장로님) 하나님께 소망을 둔 자를 세상은 결코 흔들 수 없습니다. (롬 8:35, 37) 시편 39편은 다윗이 지은 시입니다. 다윗은 실수가 많았던 사람입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런 다윗의 실패 경험이 그를 완전히 망하게 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다윗은 이 시를 아마도 압살롬에게 쫓겨서 피난갔을 때 쓴 것으로 보입니다. (10-11절) 다윗은 이 경험을 통해 인생이 아닌 것을, 자기가 왕으로 든든히 섰을 때조차 하나님 앞에서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깨닫습니다. 특히, 자신을 왕으로 추대한 사람들, 부하들, 재물도 자신을 지킬 수 없는 것들임을 깨닫습니다. 이 때, 그는, “주여 이제 내가 무엇을 바라리요 나의 소망은 주께 있나이다” 라고 고백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소망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단 하나, 우리 주님밖엔 없습니다. 다윗이 담담이 징계를 받은 것도, 그가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그의 눈에는 징계받는 모든 과정 중에 오로지 하나님만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겸손히 주님께 “주의 징벌을 나에게서 옮기소서” 라고 간구합니다. 이렇게 철저하게 하나님께만 소망을 둔 다윗을 우리 주님은 다시 받아 주셨습니다. 소망의 다음 단계는 하나님이 직접 새 소망을 주시는 것입니다. 이 때 주시는 하나님의 소망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비전과 소망들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영적 회복뿐만 아니라, 우리의 무너진 삶을 다시 세우는 것에도 관심이 많으신 분이십니다.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녀들이 이 땅 가운데서 정당한 대우를 받고, 일에서 보람을 찾는 것을 기뻐하십니다. 그래서, 우리 영이 회복되면 주님은 우리에게 새로운 비전과 소망들을 부어 주십니다. 그런데, 한 번 자신의 소망을 하나님께 확실히 뿌리내린 사람들은, 하나님이 세상의 축복을 부어 주셔도 다시 흔들리지 않습니다. 다윗도 하나님의 징계의 때가 다 지나게 되자, 하나님은 그를 압살롬보다 더 강하게 하셨고, 다시금 그의 왕위를 회복시켜 주셨습니다. 그를 통해서 이스라엘을 축복하시고, 예루살렘 성을 지을 모든 준비도 마치셨습니다. 무엇보다 그의 자손에서 메시아가 나오는 언약도 성취해 주셨습니다. 형제, 자매 여러분에게 소망이 있으신가요? 우리 주님께 모든 소망을 두시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축복합니다. <묵상과 나눔을 위한 질문>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March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