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 하나님을 섬길 것인가, 재물을 섬길 것인가? (마 6:24)
우리는 계속해서 하나님과 언약관계를 맺은 백성들이 살아가야 하는 덕목들을 함께 살펴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조금 어려운 주제인 재물, 즉, 돈에 대한 말씀들을 함께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재물에 대해 성경은 긍정적인 말씀과 부정적인 말씀들을 함께 합니다. (신 8:18, 시 16:5, 전 5:19 vs 딤전 6:10, 막 10:25, 마 6:19-20) 이런 말씀들을 종합해보면, 성경은 재물이 하나님이 주시는 분깃이자 축복이라고 말씀합니다. 또한, 재물은 하나님이 하나님의 일을 이 땅에서 해 나가시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성경은 재물에 대한 탐심에 대해서는 우리가 매우 주의해야 할 것임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성경은 이 땅에서 부자가 되는 것보다 훨씬 더 가치 있는 돈의 사용처가 있으며, 우리가 그것을 추구할 것을 권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자본주의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란 ‘돈’으로 노동력을 구매하여 상품과 가치를 생산하는 경제체제를 말합니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모든 물질적 가치를 평가하는 기초가 돈입니다. 이러한 자본주의 속에서는 돈이 안되는 개인이나 기업은 결국 망하게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교회 안에도 이러한 풍조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돈이 모든 가치를 정하는 세상은 결코 성경적인 세상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예, 추수관련 율법, 소작농 비유) 사실, 자본주의가 세상의 경제 원칙이 된 것은 전 인류역사 중 굉장히 최근에야 일어난 일입니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불변의 진리도 아니며, 많은 문제점이 있는 제도입니다. 특히, 자본주의는 인간의 탐심을 인정한 제도입니다. 성경은 탐심을 죄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본주의라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자본주의가 갖고 있는 비성경적 요소들도 정확히 알고, 이에 맞서 성경적 가치관으로 싸워 나가야 합니다. 그것이 빛과 소금으로 사는 방법입니다. 오늘 본문말씀은 예수님의 산상수훈 중 재물에 관한 매우 도전적인 말씀입니다. (마 6:24) 이 본문을 보면 중요한 원리들이 나옵니다. 우선, 재물이 우리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말씀합니다. ‘하나님의 자리를 차지하는 다른 것이 우상’ 이라는 팀 켈러의 정의대로, 재물이 우리 주인이 되면 재물이 우상이 됩니다. 그것을 맘몬이즘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본문말씀은 하나님과 재물 사이에 반드시 우선순위를 올바르게 정해야 할 것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을 주인으로 섬기려면, 우리가 재물에 대한 욕심에서 벗어나야만 가능하다고 단정적으로 말씀합니다. 내가 제물의 노예가 되어 있는지는 ‘내 소유물 중 가장 소중한 것을 하나님이 원하신다면 내가 포기할 수 있는가?’를 스스로 물어보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우리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하나님을 섬길 것인가, 재물을 섬길 것인가? 저는 이 선택에서 꼭 하나님을 선택하는 여러분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자녀는 허락된 재물의 축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재물을 섬기는 자는 하나님이라는 진짜 축복을 누릴 수 없습니다. 그러면 그가 갖고 있는 많은 재물은 축복이 아니라 저주가 될 것입니다. 본문말씀의 병행구절인 눅 16:10은 ‘적은 일에 충성하는 사람이 큰 일에도 충성할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문맥상 여기서 적은 일은 재물이고, 큰 일은 하나님의 일입니다. 즉, 우리가 재물을 잘 통제하는 자가 될 때, 하나님의 큰 일도 감당할 수 있는 자가 될 거라고 성경은 강조합니다. 그럼, 우리가 돈을 노예로 다루는 방법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나의 믿음의 뿌리를 돈이 아니라 하나님께 두는 것입니다. 말은 쉬운데 위기 앞에서는 이것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나의 모든 필요를 채우시는 근원적인 공급자이십니다. 하나님이 엘리야를 아합왕에게 보내어 큰 가뭄이 올 것을 예고하라고 하신 후에, 그에게 요단 강가로 가서 숨어 지내라고 하셨습니다. 그 때, 하나님은 엘리야의 먹고 마시는 문제부터 해결해 주셨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할 때, 하나님은 우리의 먹고 사는 문제를 책임져 주시겠다고 말씀하십니다. (마 6장) 두번째, ‘하늘나라 은행에 저축하자’ 입니다. 마태복음 6장에는 땅에 있는 은행과 하늘 나라에 있는 은행이 나옵니다. 땅에 있는 은행에는 좀먹고, 녹슬고, 도둑이 있지만 하늘 나라에 있는 은행에는 그것들이 없습니다. 재물을 땅에 쌓아 두었다는 뜻은 하나님이 쓰시려고 할 때 못 드리는 재물을 뜻합니다. 땅의 것에 굳게 엮여져 있는 재물입니다. 반면, 하늘나라 은행에 저축하는 것은 하나님 사역과 이웃에게 베푸는 재물을 말합니다. 그 방법은 여러가지 일 것입니다. 특히, 하나님은 나보다 못한 자들과 함께 나누는 재물을 정말로 기뻐하십니다. 전세계가 부의 불공평으로 고통받을 때,하나님은 주의 자녀들을 통해서 가난한 자들과 소외받은 자들을 케어하시기 원하십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마음은 가난한 자들을 향하고, 동시에 그들을 돕는 손길들에 집중하십니다. (눅 6:38) 마지막은, 온전한 십일조 생활입니다. 십일조는 이미 율법이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던 중요한 ‘신앙의 본’입니다. 그래서 십일조의 정신은 율법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이고 감사함으로 하는 것입니다. 십일조는 내 삶에서 ‘돈의 권세를 끊는 영적 전쟁의 시작’ 입니다. 내 삶의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 선포하는 것입니다. 또한,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을 축복해 주시겠다고 특별히 선언하신 독특한 헌금입니다. (말 3:10-11) 재물의 문제는 어렵지만 우리가 하나님과 동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립해야 할 중요한 문제입니다. 성경적 재물관은 머리로 아는 것이 아니라 생활의 훈련을 통해서 얻어지는 것입니다. 젊은 나이부터 이를 잘 습관화하여 하나님을 섬기고 재물을 다스림으로, 주께서 큰 일을 맡기실 수 있는 귀한 주의 자녀 되시길 전심으로 축복합니다. 묵상과 나눔을 위한 질문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4부예배오후 1시 (청년부 예배실) Archives
May 2023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