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
요 17:11-13, 23-26 개리 채프먼이 쓴 ‘다섯가지 사랑의 언어’라는 책에 보면, 사람마다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언어가 있는데, 그것이 모두다르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직접적인 언어가, 어떤 사람에게는 특정한 행동이, 어떤 사람에게는 배려깊은 태도가 사랑을 느끼게 합니다.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는 무엇이었을까요?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무리들에게, 지금 우리들에게 어떻게 그 분의 사랑을 표현하셨나요?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예수님을 사랑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작점이 됩니다. 왜냐면, 우리가 예수님을 깊이 사랑하려면, 먼저 예수님이 우리를 얼마나 깊이 사랑하시는지를 피부로 느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는 직접적 언어 표현은 아니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예수님은 구약의 하나님보다도 직접적인 언어적 사랑 표현을 더 적게 하셨습니다. 이 점이 우리를 놀라게 합니다. 이를 묵상하다 보니 그 이유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이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을 우리에게 알려주시려고 오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 분은 철저하게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을 전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셨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어릴 적 저는 예수님의 사랑을 깊이 깨닫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나를 사랑하시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 예수님은 제게 사랑보다는 ‘순종’의 이미지가 더 강했습니다. 자기희생의 이미지가 더 강했던 것이죠. 나를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신 분은 예수님이신데, 정작 나의 사랑은 그 예수님을 보내신 아버지 하나님께로만 향했습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그것이 예수님이 의도하신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그 분의 깊은 마음을 느껴야만 할 것입니다. 요한복음 17장은 아버지 하나님과 예수님의 관계, 특별히 구원사역과 관련한 삼위 하나님간의 관계를 잘 알 수 있는 귀한 구절입니다. 특별히, 요한은 예수님의 기도를 직접 인용하여 기록함으로써 그 관계에 대한 예수님의 1인칭 고백을 듣게 하여 줍니다. 여기서 발견하게 되는 것은, 예수님이 창세 전부터 이미 아버지와 함께 같은 영광을 누리신 하나님이시라는 점입니다. 그 분은 순종함으로 하나님의 반열에 오르신 분이 아니라, 태초부터 하나님이신 분이 오셔서 순종하신 분이십니다. 다음으로, 구원은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의 놀라운 공동작품이라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은 택하신 영혼들을 예수님께 맡기셨고, 예수님은 그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고 돌보시다가, 때가 되어 아버지께 다시 맡기십니다. 성령님은 예수님을 증거하며, 주님의 초림과 재림 간에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사역을 완성해 갑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는, 첫째,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을 통해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십니다. 이는 철저한 중재자 역할을 자청하신 예수님의 완전한 겸손의 표현입니다.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은 하나님의 영광과 권위를 동일하게 공유하셨습니다만, 끝내 성부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합니다. 이는 삼위 하나님 간의 완전한 사랑의 연합, 상호 존중과 자발적 순종의 발로입니다. 이런 겸손은 확대되어 세례 요한과 성령님에게서도 보입니다. 이처럼 한 목적, 구원을 위해 삼위 하나님 간의 자발적 겸손과 순종을 통해 완성된 구원의 복음이 우리에게 전달된 것입니다. 따라서, 성부 하나님의 사랑이 곧 성자 예수님의 사랑입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사랑으로 표현하신 부분들을 예수님의 사랑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에는 절제함이 있습니다. 이것이 오히려 그 분의 사랑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 줍니다. 두 번째,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는 절제함 속에서도 스며 나오는 예수님의 마음에 담겨있습니다. 주님의 행동, 태도, 말투, 표정, 눈빛에는 감출 수 없는 사랑이 베어 있었습니다. 그 분의 모든 사역의 밑바탕에는 그 분의 크신 사랑과 긍휼함이 있습니다. 주님은 인간들의 결핍과 죽음과, 연약함과 고통을 볼 때 너무나도 불쌍하게 여기셨습니다. 창조하신 피조물에 대한 사랑과, 죄로 인해 창조 원리에서 어긋난 것이 가슴 아프셨던 것입니다. 이것이 그 분의 모든 사역의 발로였습니다. 마지막, 예수님의 사랑의 언어는 우리와의 관계 설정에 담겨 있습니다. 즉, 그분이 친히 우리의 선한 목자가 되어 주십니다. 선한 목자는 양들을 끝까지 책임집니다. 이처럼, 예수님도 우리를 끝까지 책임지시는데, 마지막 날까지 책임지신다고 성경은 약속합니다. 또한, 선한 목자는 양들에게 모든 것을 베풀어 줍니다. 그 분은 자기 목숨을 아끼지 않으시고 양들을 위해 내어 주시는 분이십니다. 십자가는 그 분 사랑의 정점입니다. 목자 되신 주님이 양들을 위해, 친히 어린 양이 되어 죽임을 당하셨습니다. 그런데, 심지어 주님은 십자가의 영광까지 아버지께로 돌리십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런 주님을 더욱 사랑하게 됩니다. 그 분의 사랑에는 절제함이 베어 있습니다. 진실함이 담겨 있습니다.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이신 진짜 사랑입니다. 이런 주님의 사랑의 언어를 제대로 읽게 될 때, 우리도 주님을 뜨겁게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나눔 질문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March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