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가나안에서 광야처럼 살기
신 8:11-18 웨이코 쪽에서 목회하시는 이진희 목사님이 쓰신 책들 중 광야 시리즈가 있습니다. ‘광야를 읽다’, 그 후속편 ‘광야를 살다’, 그리고 광야 시리즈 완결편인 ‘가나안에 거하다’ 입니다. 광야의 마지막은 가나안에 거한다는 아이디어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인생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하여 산을 오르는 등산의 과정과 광야를 통과하는 광야길을 비교합니다. 세상의 많은 사람들은 인생을 정상을 향해 가는 등산의 과정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목사님은 인생은 철저히 과정도, 목적지도 알 수 없는 광야길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광야는 인생의 자연스런 한 부분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광야를 죄에 대한 징계로만 여기는 것은 인생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아닙니다. 사실 광야는 가나안에서는 배울 수 없는 소중한 것들을 가르쳐주는 훈련의 도장입니다. 그래서 광야 학교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이 곳에서는 먼저 의식주 훈련을 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인도함 받기 훈련을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을 믿고 따르기 위하여 인내하고 주만 의지하는 법을 배웁니다. 모호하던 신앙의 영역이 광야에서는 굉장히 실제적이 됩니다. 광야에서는 조급함은 금물입니다. 하나님께서 광야를 주신 목적이 달성되어야 만 광야를 졸업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아닌, 우리 인생에 가장 중요한 분이 하나님이심을 우리 마음판에 새기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삶에는 광야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찌 보면 광야보다 가나안에 사는 시간이 훨씬 더 긴 것이 보통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목사님도 광야시리즈의 완결판을 ‘가나안에 거하다’ 라고 쓰신 것이기도 합니다. 가나안 생활은 광야와는 완전히 다릅니다. 유목생활과 정착생활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에 들어간 그 날부터 만나가 그쳤습니다. 그들은 그 땅에서 나온 소출을 먹어야 했습니다. 가나안에서는 집도 짓고, 부의 증식도 생기게 됩니다. 미래를 대비하기도 해야 하며, 위험을 위해 보험도 들어야 합니다. 본문말씀은 이스라엘의 영적 지도자인 모세가 자신은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하지만, 그 백성들이 이제 들어가면 지금까지 와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살게 될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말을 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은 기대감으로 충만했을 지 모르지만, 사실 모세는 그들을 경고하기 위해 이 말을 한 것입니다. 즉, 가나안에 들어가면 너희 하나님을 떠나지 말라고 강조합니다. 가나안에는 광야와는 전혀 다른 위기가 있습니다. 치열하고 생존을 위협하는 위기는 아니지만, 우리 영혼을 고갈시킬 수 있는 대단히 위험한 위기들입니다. 우선, 가나안의 위기는 ‘하나님을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가나안에서는 내 소산, 내 재산, 내 능력으로 어느 정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이것이 함정입니다. 그러다 보니, 살기 위해서 하나님께 간절히 매달릴 필요가 적어지는 것입니다. 가나안의 두번째 위기는 ‘교만해지는 것’입니다. 땅의 소출이 과연 내 노력의 결과인지, 하나님의 축복인지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이 거둘 땅의 소산을 내가 농사지어 얻은 것이라고 여기지 말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청년 여러분들은 여러분이 받는 월급을 어떻게 바라보시는지요? 가나안의 세번째 위기는 ‘우상 숭배’입니다. 가나안에 들어가니 재산 증식이 너무 중요해졌습니다. 바알신은 다른 대단한 우상이 아니라, 풍년 기원의 신입니다. 세상에는 재산 증식의 원리들이 있습니다.(주식, 부동산 투자 비결 등) 이스라엘 백성들이 솔깃했던 바알은 바로 그런 것이었습니다. 세상이 다 그 방향으로 갈 때, 우리만 그것을 터부시하며 살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문제는 그 정도가 심각해지면 그것이 우상 숭배가 되기 대단히 쉽다는 점입니다. 결국, 가나안에서 이런 패턴으로 사람들이 하나님을 떠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되는 줄 아십니까? 다시 광야학교에 들어가게 됩니다. 우리는 가나안의 위험성을 마음 속에 깊이 새겨야 할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광야를 극복한 사람들보다 가나안을 극복한 사람이 더 적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가나안에서 광야처럼 살기를 연습해야 합니다. 이 땅에 정착하는 삶이, ‘이 곳이 좋사오니~’로 변질되지 않고, 끝까지 순례자의 정신을 유지하며 사는 삶입니다.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교훈들을 생각해 봅시다. 우선, 우리 삶을 단순화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마르다에게 ‘많은 일로 근심하지 말고, 한 가지만이라도 네게 족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직장, 교회, 소셜, 취미, 가정 다 챙기면서 깊은 영성 누리긴 쉽지 않습니다. 최 우선순위인 하나님과의 관계를 위해, 다른 부분들을 조정하고 정리해야 합니다. 또한, 가나안에서는 나의 창고와 재산을 너무 의지하지 않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축복을 우상으로 탈바꿈시키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가나안 땅에 완전히 정착한 이스라엘에게, 너희 보물을 하늘 창고에 쌓아 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주께서 땅에서의 자산 증식을 주의하라고 하신 것은 그 보물이 있는 곳에 우리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재산 증식에 너무 몰두하면, 우리 마음은 재산과, 그 재산이 있는 이 땅에 묶이게 됩니다. 이것이 재산이 바알이 되는 분기점입니다. 다음으로, 가나안에서 광야의 영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내려놓는 기도란 쉽게 생각하면 광야에서 필요 없는 것들은 다 내려놓을 마음을 주님께 드리는 기도를 말합니다. 그 기준으로 우리에게 지금 내려 놓아야 할 것들을 살펴보면 너무 많은 것들이 그 대상이 됨을 알게 될 것입니다. 또한, 광야 영성은 갈망하는 영성이요, 부르짖는 영성입니다. 간절함이 차이가 납니다. 이런 영성을 가나안에서도 유지해야 합니다. 가나안에서 광야훈련을 하는 것은 이러한 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큰 유익을 줍니다. 가나안에서 마치 광야처럼 하나님의 인도함을 받는 훈련, 하나님만 바라보는 훈련을 받는 것입니다. 혼자보다는 팀을 이뤄서 함께 훈련을 받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어떻게 든 광야의 영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나안에서 광야처럼 사는 방법입니다. 가나안의 위기를 광야 영성으로 극복하는 저와 여러분 되시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나눔질문 1. 나는 지금 광야에 있습니까? 가나안에 있습니까? 2. 1번 질문과 연계해서, 나에게 가장 큰 영적 위기는 어떤 것입니까? 3. 가나안에서 광야의 영성을 유지하기 위해 내가 더 노력하기 원하는 마음이 있다면 서로 나눠보세요.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April 2025
Catego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