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인자로 빚어져 간 대제사장 아론
출 4:13-16 여름 기간동안 성경 인물들을 보면서 하나님의 뜻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오늘은 모세의 형이자, 조력자이며, 대제사장 계열의 조상이 된 아론의 삶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모세와 아론은 레위지파의 형제로 태어났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의 포로로 살 때 태어났기에 어린 시절 삶과 죽음의 위기를 경험한 순탄치 않은 삶을 살았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모세는 이집트 왕궁에서 자랐고, 형 아론은 포로 가정에서 자라난 운명적 갈림이 있었습니다. 이런 성장배경은 아론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동생 모세에 대한 마음 깊은 곳의 시기심을 갖게 하였을 것입니다. 하나님이 80이 된 모세를 찾아오셔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집트에서 인도하여 나오라는 사명을 맡기실 때 모세는 이를극구 사양하였습니다. 그가 다섯 번이나 부인하자 하나님께서 그를 돕는 자로 세우신 사람이 바로 아론이었습니다. 아론을 부르시는 호칭을 보면, 이미 하나님은 아론을 레위지파의 리더요, 제사장직을 맡길 인물로 삼으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론은 모세를 만나 하나님의 명령을 바로 수행하기 시작합니다. 이스라엘 백성들과 평생을 함께 하였던 아론의 존재는 모세에게 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이렇게 모세와 아론은 좋은 팀웤을 유지하며 백성들을 인도해 냅니다. 그런데, 이런 아론이 40년간 모세와 함께 하면서 결정적인 실수를 두 번이나 저지릅니다. 첫번째 실수는 금송아지 사건입니다. 그는 시내산에 율법을 받으러 올라간 모세를 대신하여 백성들의 지도자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모세가 더디 내려옴을 두려워 한 백성들의 요구에 못 이겨 그만 금송아지 우상 형상을 만들고 경배하는 큰 실수를 저지릅니다. 이 사건을 통해 한 가지 확실해진 것은, 아론은 절대로 모세를 대신할 지도자가 될 수 없는 사람이라는 점입니다. 지도자의 분별력이 흐려지면 공동체에게는 재앙이 됩니다. 아론의 두 번째 실수는 모세의 리더십에 도전한 것입니다. 모세가 구스 여인을 아내로 맞이한 것을 계기로 아론과 미리암은 모세의 지도자로서의 권위에 문제제기를 합니다. 이 일에 대해 하나님이 직접 개입하셔서 모세의 권위를 보호하셨습니다. 그 결과 미리암은 나병에 걸리고, 아론은 모세에게 잘못을 빌며 미리암을 위한 중보 기도를 요청합니다. 하나님은 모세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녀를 용서해 주셨습니다. 이 두 사건을 통해 아론은 자신의 역할과 한계를 정확하게 깨우쳤습니다. 그는 2인자 역할을 감당하도록 부름 받은 사람이었습니다. 그에게는 1인자가 되기 위한 영적 분별력도, 지도자다운 마음 씀씀이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 보시기에는 1인자건 2인자건 큰 차이가 없습니다. 오직 우리 인간은 2인자 자리에 만족하지 못할 뿐입니다. 하나님은 각자가 부름받은 그 자리에서 성실히 사명을 감당하는 것을 너무나 귀하게 보십니다. 토기장이는 귀히 쓸 그릇도 천히 쓸 그릇도 만들 권한이 있으며, 사람 눈에 천히 쓰이는 질그릇이 복음 사역에서는 귀히 쓰이는 그릇이 되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기 때문입니다. 아론이 1인자가 되고자 했을 때 이스라엘은 큰 곤경에 빠졌지만, 그가 자기 부르심의 자리에서 그 역할을 수행할 때 그의 삶은 다른 삶을 축복하는 귀하고 복된 삶이 되었습니다. 아론의 축복이 그 좋은 예입니다. 목사님들이 예배 마지막에 축도하는 것의 기원이 바로 아론의 축복입니다. (민6:24-26 여호와는 네게 복을 주시고 너를 지키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의 얼굴을 네게 비추사 은혜 베푸시기를 원하며, 여호와는 그 얼굴을 네게로 향하여 드사 평강 주시기를 원하노라) 왜 하나님은 아론같이 부족한 자를 대제사장의 조상으로 삼으셨을까요? 우리는 하나님이 부르시는 자는 뭔가 완벽해야 한다고 착각하지만 성경은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히브리서 기자는 대제사장은 그 스스로도 연약하여 자신을 위해서도 속죄제를 드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히 5:1-3)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연약한 그를 부르셔서 세우시고, 기름 부으시고, 하나님의 제사장직을 감당케 하시는 분이십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질서입니다. 우리에게 있는 리더들을 우리는 이런 시각으로 바라볼 줄 알아야 합니다. 반대로, 백성들이 아론의 권위에 도전했을 때, 하나님은 아론의 권위를 확실히 보호하셨습니다. 아론의 싹난 지팡이 사건이 그것입니다. 아론의 사촌동생 고라가 주도한 반역사건에서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12지파에게 각각 지팡이를 가져오게 하셨습니다. 지팡이는 통치력과 지도자를 상징합니다. 각각의 지팡이에 각 지파의 지도자 이름을 새긴 후 언약궤 앞에 두게 하시고, 하나님이 선택한 사람의 지팡이에만 싹이 날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다음 날 아침, 아론의 지팡이에만 움이 돋고 순이 나고 꽃이 피어 살구 열매가 맺혔습니다. 이로서 하나님은 온 백성이 아론의 권위를 인정하게 만드셨고, 그 싹난 지팡이를 지성소 안에 영원히 두게 하심으로 아론의 제사장직을 영원히 지켜주셨습니다. 우리는 아론의 삶을 통해 질서의 하나님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가 부르심의 한계를 넘어서려 할 때, 하나님은 그를 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렇게 그를 2인자로 빚어가셨습니다. 성장 배경에서 생겼던 시기심과 경쟁심을 극복하고, 부르심의 자리에 따라 자신의 한계와 책임을 다하는 사람으로 그를 이끄셨습니다. 비록 인간적으로 볼 때 부족함이 많았지만, 아론은 결국 자기의 부르심의 자리에서 모세의 조력자로서, 이스라엘의 초대 대제사장으로서 자신의 책무를 끝까지 다하였습니다. 그의 속죄제사를 보시고 하나님은 백성들의 죄를 사하셨으며, 그의 축복기도를 들으시고 하나님은 백성들을 마음껏 축복하셨습니다. 우리가 이 점을 잘 기억한다면, 우리 공동체를 향한 하나님의 뜻과 질서를 더욱 잘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런 지혜롭고 성숙한 공동체 되길 축원합니다. 묵상 질문 1. 나에게는 아론과 같이 1인자가 되고 싶은 마음은 없나요? 2. 아론이 모세의 권위를 부정할 때 하나님은 모세의 권위를 보호하시고, 백성들이 아론의 권위를 부정할 때 하나님은 아론의 권위를 인정하신 것이 오늘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준다고 생각하나요? 3. 나의 부르심의 자리는 어디인가요? 아론을 빚으셔서 그 자리를 찾게 하신 주님이 우리도 부르심의 자리를 찾아 가도록 빚으실 줄 확신합니다.
0 Comments
Leave a Reply. |
"주일설교에 대한 질문을 작성해주세요."
주일 청년부 예배오후 2시 (1층 본당) Archives
January 2025
Categories |